HOMEE-SUBMISSIONSITEMAPCONTACT US

CORPUS LINGUSITICS RESEARCH

pISSN: 2586-0550

저널검색ALL ISSUE

ALL ISSUE

東硏(JCSEA) / November 2018 Vol. 4

동아시아의 해역, ‘서해'와 ‘황해'에 대한 연구

김보한

東硏(JCSEA) :: Vol.4 No. pp.1-12

Abstract
동아시아의 해역, ‘서해'와 ‘황해'에 대한 연구 ×

At present, we need to establish the terminology of ‘The West Sea’. Historically, The West Sea was a channel for China-Korea relations, Namjo-Baekje, Tang-Chunghaejin. Therefore, the West Sea was the area of maritime activities in Goguryeo, Baekje, Goryeo, and Chosun. The term ‘The West Sea’ is a historical term used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Therefore, even if we use it now, there is no problem at all. Meanwhile, from ancient times to the empire, the term ‘The Yellow Sea’ has never been used in our history. The ‘The Yellow Sea’ emerges from Thomas Jeffries’ Asian highlands around 1748. With the introduction of Western maps and mapping techniques in the Chung Dynasty, the ‘The Yellow Sea’ began to be translated into Chinese characters ‘The Yellow Sea’. Therefore, the present “Yellow Sea” is an alias of West Sea created by Westerners. Similarly, in the case of the ‘Joseon Sea’ appearing in the Joseon Dynasty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Sea of Corea’ is emerging in Thomas Jeffries’ Asian Highlands around 1748.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동아시아의 해역, ‘서해'와 ‘황해'에 대한 연구 ×
  • EndNote
  • RefWorks
  • Scholar's Aid
  • BibTeX

Export Citation Cancel

淺析韓國江陵端午祭對中國端午傳承之啟發

江筱倩

東硏(JCSEA) :: Vol.4 No. pp.13-38

Abstract
淺析韓國江陵端午祭對中國端午傳承之啟發 ×

단오는 한국과 중국에 모두 전승되고 있는 전통명절이다. 한국의 경우, 단 오는 고려시대 9대 명절에 속하였고, 조선시대에는 설날, 한식, 추석과 함께 4대 명절로 여겨져 한국의 대표적인 여름철 명절로 손꼽힌다. 중국의 단오절 은 선진(先秦) 시대에 기원하여 진한(秦漢) 시대 초보적으로 형성되었다. 정 확하게 언제 한국으로 전해 들어왔는지를 알 수 없으나 현존 자료를 살펴보 면 삼국시대까지 기원을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한국의 단오문화는 중국에서 유래했기 때문에 “단오(端午)”라는 명칭과 명 절의 날짜가 중국과 같을 뿐만 아니라 많은 풍속들도 유사하다. 그러나 많은 세월이 흘러가면서 한국의 단오문화는 이미 현지화, 자국화되어 처음 중국부 터 유래했을 때의 형태와 많이 달라졌다. 이제는 한국 단오제와 중국 단오절 을 같은 것으로 보기가 어려워졌다. 특히, 유네스코 세계 무형 유산으로 등록 된 한국 강릉단오제의 경우, 중국의 단오절을 모태로 삼고는 있지만 강릉의 민간신앙 등과 긴밀하게 결합되어 현지화되면서 완전히 다른 명절이 되었다 고 할 수 있다. 중국의 단오절은 전국시대(戰國時代)에 기원하여 한나라(漢) 때 “악월악 일(惡月惡日)” 설의 영향을 받아 악한 기운을 막고 건강을 기원하는 의례로 진행되었다. 후대에 영웅인물들의 전설과 결합하면서 단오절은 점점 영웅을 기념하고 그에게 제사지내는 날이 되었다. 각 지역에 전승되는 전설은 조금 씩 다르지만 “굴원(屈原)”을 기념하는 설이 가장 보편적이다. 단오 때 종자(粽子)를 먹는 풍속, 용선경도(龍船競渡) 풍속 등이 원래부터 있었는데, “굴 원” 전설이 생기고 나서 이 두 가지 풍속도 굴원과 연결되었다. 현재 중국에 는 지역별, 민족별로 단오절을 지내는 풍속이 조금씩 다르다. 또한 한국에 비 해 중국에서는 전통문화 복원의 중요성을 늦게 인식하였기 때문에 일부 풍속 은 이미 실전(失傳)되기도 했다. 한국의 강릉단오제가 한국식 단오의 풍습을 잘 보존해 오는 경험을 참고하여 이를 거울로 삼아 중국도 자신의 전통문화 를 잘 보호하고 발전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국의 강릉단오제가 2005년 유네스코 세계 무형문화유산으로 등록되면 서 단오의 소유문제가 한중 양국에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중국에서는 단오 를 중국의 고유 전통명절로 주장하여 학계에 논란이 일어났고 그때부터 자 극받아 전통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했다. 전통문화의 전승 등의 문제에 대해서 반성하고 예전에 비해 전통문화의 보호 및 발전에 힘을 집중하기 시작하였 다. 이뿐만 아니라 중국 및 인접 국가의 각종 전통문화에 대한 연구도 활성 화되었다. 한국 강릉단오제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조선시대의 것이다. 조선의 문신 (文臣) 허균(許筠)의 기록에 의하면 조선 중기까지 강릉단오제는 신라의 대 장군 김유신(金庾信)을 주신(主神)으로 모시는 제사의식이었다. 중국 성황제 (城隍祭)의 영향을 받아 강릉단오제는 점점 읍치 성황제의 모습을 보이게 되 었고, 조선 후기에 이르러 강릉의 승려 “범일국사(梵日國師)”가 성황신으로 모셔지고 강릉단오제의 주신이 되었다. 이때부터 대장군 김유신은 강릉의 산 신(山神)이 되었다. 강릉단오제는 현재까지 전승하는 과정에 여러가지 변화를 겪었으나 기본 적인 제의를 통해 복을 기원하고 나쁜 기운을 쫓아내는 벽사진경(僻邪進慶) 의 정체성을 잃어버리지 않았다. 현재까지 강릉단오제에서는 유교식 제의와 무속식 제의가 모두 잘 보존되어 있다. 또한 강릉단오제는 전통축제이면서 전형적인 지역축제이다. 공동체의 문화유산이라서 지역사람들이 매우 적극적 으로 참여하고 있다. 강릉단오제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면서 지역의 문화유산일 뿐만 아니라 한국의 대표하는 축제로서 알려져,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들의 참여도 늘어나고 있다. 바로 이러한 적극적인 참여가 있기 때문 에 강릉단오제가 오랫동안 지속되고 오히려 더욱 흥성하게 국제적인 축제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강릉단오제가 전통의 모습을 잃지 않고 온전하게 그 생명력을 이어올 수 있는 또 하나의 요인은 바로 단오제 행사 중의 “난장”이다. 난장은 축제의 볼거리, 먹거리, 놀거리를 모두 제공하여 인근 지역뿐만 아니라 전국 각 지역 의 관람객들을 끌어들인다. 정기적 상설시장보다 오히려 난장과 같은 부정기 시장이 단기간 내에 경제적 효과를 더 발휘하는 셈이다. 본고에서는 한국 강릉단오제와 중국 단오절의 기원 및 역사를 간략하게 살 펴보면서 강릉단오제가 가진 문화적인 가치가 전통명절의 현대화 발전에 미 치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한국 강릉단오제의 성공적 케이스 분석을 통해서 중국 단오절 전승에 있어서 얻을 수 있는 제언을 논의해 보았다.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淺析韓國江陵端午祭對中國端午傳承之啟發 ×
  • EndNote
  • RefWorks
  • Scholar's Aid
  • BibTeX

Export Citation Cancel

근대 일본에 있어서의 저작권 문제의 행방 - 초기 저작권법제 안의 문학 -

최세경

東硏(JCSEA) :: Vol.4 No. pp.39-66

Abstract
근대 일본에 있어서의 저작권 문제의 행방 - 초기 저작권법제 안의 문학 - ×

After the Meiji Restoration, in 1869, it became possible for the literary arts to be protected by the law in Japan, where modernization is promoted. However, there was still no mention of the author’s rights protection and the term “copyright”, and in 1875, the “copyright law” appeared in the revision of the “publication ordinance” and there was provision to protect the author. In 1887, the New Ordinance on Scriptwriting was newly established, which recognizes the rights of theatrical plays and musical scores, and protects and regulates the rights to perform. In 1899, the [Copyright Act] was finally enacted, abolishing the title of copyright(판권), creating a new copyright name, and copyright naturally occurred and no registration was required.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re was a theater improvement society and a literary association in the process of making and establishing copyright law. The Theater Improvement Society was established in 1886 and carried out a theater improvement campaign to improve the screenplay, drama and theater. At the time, it was widely criticized as “worship of the West,” but suggested that drama is an important constituent of culture in the society at that time, when only literary works such as novels and poetry were regarded as important constituents of culture, and suggested that the copyright(판권) and entertainment rights of actors and actresses be attributed to the artist. It is also true that this influenced the creation of the 1887 Regulation on Scriptwriting. Meanwhile, from 1926 to the early 1930s, a movement to revise copyright law by the Literary Association was held. The Literary Association, which was inspired by the litigation of the drama “坂崎出羽守” and acted to defend the rights of the author, submitted to the Parliament amendments to the Copyright Act and opposed to the protection of the moral rights of the author and so it was reflected in the revised law of the Copyright Act of 1931. When modern order was established, Japanese Literary Arts acted actively to protect their rights themselves.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근대 일본에 있어서의 저작권 문제의 행방 - 초기 저작권법제 안의 문학 - ×
  • EndNote
  • RefWorks
  • Scholar's Aid
  • BibTeX

Export Citation Cancel

One Asia Foundation 『Towards Asian Community-Peace through Education』, Ashi-Shobo, 2018년 8월 (ISBN 978-4-7556-1298-5C0030, 定価 2000円+税)

동아시아비교문화연구회

東硏(JCSEA) :: Vol.4 No. pp.67-68

Abstract
One Asia Foundation 『Towards Asian Community-Peace through Education』, Ashi-Shobo, 2018년 8월 (ISBN 978-4-7556-1298-5C0030, 定価 2000円+税) ×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One Asia Foundation 『Towards Asian Community-Peace through Education』, Ashi-Shobo, 2018년 8월 (ISBN 978-4-7556-1298-5C0030, 定価 2000円+税) ×
  • EndNote
  • RefWorks
  • Scholar's Aid
  • BibTeX

Export Citation Cancel

『진짜 일본은 요괴문화 속에 있다』(시간의 물레, 2018년 12월 출간 예정) 『일본 요괴문화 상품이 되다』(시간의 물레, 2018년 12월 출간 예정)

동아시아비교문화연구회

東硏(JCSEA) :: Vol.4 No. pp.69-75

Abstract
『진짜 일본은 요괴문화 속에 있다』(시간의 물레, 2018년 12월 출간 예정) 『일본 요괴문화 상품이 되다』(시간의 물레, 2018년 12월 출간 예정) ×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진짜 일본은 요괴문화 속에 있다』(시간의 물레, 2018년 12월 출간 예정) 『일본 요괴문화 상품이 되다』(시간의 물레, 2018년 12월 출간 예정) ×
  • EndNote
  • RefWorks
  • Scholar's Aid
  • BibTeX

Export Citation Cancel

日本古代の災害発生時における情報伝達

村上菜菜

東硏(JCSEA) :: Vol.3 No. pp.1-23

Abstract
日本古代の災害発生時における情報伝達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verview the method and content of disaster information transmissions in Ancient Japanese. In order to deal with a disaster, a government starts with knowing the scale and situation of the damage in the disaster area. It will be unchanged in both modern and ancient. In the case, knowing how to transmit disaster information in ancient would be important in terms of understanding of disaster countermeasures by the ritsuryo state. The first chapter confirms the method of information transmission by statutes and three cases. The disaster information was transmitted promptly by 馳駅 and 逓送方式 in both cases of that the government reported to the province and that the province reported to the government. The second chapter examines the contents of information transmitted in the case of that a disaster happened in a province and considers the contents of information requested to be transmitted. As a result, this study pointed out that transmitting the damages of the people or their houses with numerical figures by the provinces was important to both the provinces and the government. It is presumed that the disaster relief system implemented by the ritsuryo state or the ideology for maintaining control of the people tabs on people by ritsuryo state was an assumption.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日本古代の災害発生時における情報伝達 ×
  • EndNote
  • RefWorks
  • Scholar's Aid
  • BibTeX

Export Citation Cancel

일본 고대 재해 발생시의 정보전달

무라카미 나나,최세경

東硏(JCSEA) :: Vol.3 No. pp.25-46

Abstract
일본 고대 재해 발생시의 정보전달 ×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일본 고대 재해 발생시의 정보전달 ×
  • EndNote
  • RefWorks
  • Scholar's Aid
  • BibTeX

Export Citation Cancel

渤海使の被災 ― 渤海使胥要德一行の事例をめぐって ―

赤羽目匡由

東硏(JCSEA) :: Vol.3 No. pp.47-64

Abstract
渤海使の被災 ― 渤海使胥要德一行の事例をめぐって ― ×

There is no account that directly describes the natural disaster in Balhae. But several incidents in which the Balhae’s diplomatic missions to Japan were shipwrecked have been conveyed in the Japanese historical accounts, and some of them seem to have been caused by natural disasters. In this paper, the author examines the cause of the shipwreck of the second mission led by SeoYodeok in order to make some remarks on the natural disaster in Balhae.  SeoYodeok who accompanied Heguri no Hironari(平群廣成) sailed for Japan between June and August in the eighth year of the Tempyo(天平) era. He encountered rough waves during the voyage, and his ship sank. This incident happened between July and September under the current Gregorian calendar, and when typhoons frequently pass near the Sea of Japan. Thus he was killed by a natural disaster, a typhoon.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渤海使の被災 ― 渤海使胥要德一行の事例をめぐって ― ×
  • EndNote
  • RefWorks
  • Scholar's Aid
  • BibTeX

Export Citation Cancel

발해사절의 피재 ー 발해사절 서요덕(胥要德) 일행의 사례를 중심으로 ー

아카바메 마사요시,신근영

東硏(JCSEA) :: Vol.3 No. pp.65-81

Abstract
발해사절의 피재 ー 발해사절 서요덕(胥要德) 일행의 사례를 중심으로 ー ×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발해사절의 피재 ー 발해사절 서요덕(胥要德) 일행의 사례를 중심으로 ー ×
  • EndNote
  • RefWorks
  • Scholar's Aid
  • BibTeX

Export Citation Cancel

‘동아시아안전공동체'를 ‘전쟁'과 ‘재난'으로 구상하다

송완범

東硏(JCSEA) :: Vol.3 No. pp.83-96

Abstract
‘동아시아안전공동체'를 ‘전쟁'과 ‘재난'으로 구상하다 ×

To respond to the ‘East Japan Tsunami’ occurred at 14:46 on March 11, 2011, the Global Institute for Japan Studies (former Center for Japanese Studies) of Korea University immediately operated the so-called ‘Earthquake Analysis Team’ from March 14, 2011, which was three days after the occurrence date of the severe earthquake. The starting point was to expect that Japan would take passive and introvert aspects in any forms after the severe damage. Since the launch, the team discovered several keywords based on the achievements made over the past five years. The keywords set for the first time included ‘disaster (accident), safety and East Asia’, which have been useful and important until now. Next, the team was interested in how to figure out the disasters/accidents of Japan from the point of view of South Korea, which reflected self-reflection of the achievements of the research team focused only on translation of the Japanese researches on disasters. On such reflection, this research focused on ‘human safety’ and ‘safe community’ putting first ‘human’ and ‘coexistence’. These are matched with the keywords of the existing symposiums including ‘lessons from the disaster’, ‘cooperation of disaster research’ and ‘coexistence from the field’ and ‘pursuit of safe community’. The counterparts of ‘safety’ in the human society should not only be ‘disasters’ or ‘accidents’. ‘War’ will also have a huge significance. Then it is only natural that ‘disaster and safety’ is related to ‘war and security’. In other words, ‘war and peace’ is in the two-sided relationship with ‘disaster and safety’. Lastly, the ‘theory of East Asian safe community’ should be established for coexistence, symbiosis and co-prosperity of the East Asian world. There should be no rooms for such goals to be intervened by any political intentions or impure thoughts. Even if the ‘theory of East Asian safe community’ has yet to be completed, it is considered not to put off the issue as a college student given that university is a member of the society.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동아시아안전공동체'를 ‘전쟁'과 ‘재난'으로 구상하다 ×
  • EndNote
  • RefWorks
  • Scholar's Aid
  • BibTeX

Export Citation Cancel

1 2
Export citation